안녕하세요! 오늘은 서울에 사는 무주택자분들이 꼭 알아야 할 주거 복지 정책, 바로 '서울장기전세주택' 그 중에서도 새로운 브랜드 **'미리내집'**에 대해 쉽고 자세히 정리해볼게요.
📌 미리내집이 뭐예요? 서울시가 운영하는 장기전세주택 사업의 새로운 이름이자 브랜드입니다. 2024년 말부터 본격 도입되었으며, 시세의 30~80% 수준의 전세금으로 최대 20년까지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.
기존 장기전세와 비교해 ‘미리내집’은 더 다양한 유형과 넓은 면적대, 그리고 청년층과 신혼부부를 포함한 다양한 계층에 초점을 맞췄습니다.
✅ 주요 특징
- 월세 NO!
- 오직 전세금만 내면 되는 구조. 임대료 걱정이 확 줄어요.
- 최대 20년 거주 가능
- 한 번 당첨되면 4년마다 재계약으로 20년까지 가능해요.
- 신축 위주 공급
- LH, SH 등이 공급하는 신축 또는 준신축 아파트 위주입니다.
- 다양한 계층 신청 가능
- 기존엔 신혼부부, 청년 위주였다면, 미리내집은 무주택자 전반에게 기회가 열려 있습니다.
- 자산 요건 완화
- 전세보증금과 자동차 가액 기준도 기존보다 완화됐어요.
📍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?
- 서울시에 1년 이상 거주한 무주택 세대주
- 소득과 자산이 일정 기준 이하인 사람
- 청년, 신혼부부, 고령자, 일반가구 모두 가능 (유형별 모집)
※ 단, 보유 자산 3.1억 이하 / 자동차 3,683만원 이하 등 기준이 있습니다.
🗓️ 언제, 어디서 신청해요?
- SH공사 홈페이지 및 LH청약센터에서 공고 확인 후 온라인 청약
- 상반기/하반기 나눠 공급되며, SH는 '서울주택도시공사', LH는 '한국토지주택공사'입니다.
🏡 어떤 지역에 나오나요?
- 2025년 예정 공급 지역 중 일부:
- 강동구 고덕강일
- 강서구 마곡지구
- 노원구 상계동
- 동작구 사당동 등지의 신축 공공아파트
점점 더 다양한 지역으로 확대 중입니다!
💡 꿀팁!
- 경쟁률이 높기 때문에 가점제 기준, 우선공급 대상을 잘 확인해두세요.
- 미리 청약홈 가입 및 SH/LH 계정 준비는 필수예요.
- 당첨되면 입주 시 전세자금대출 활용도 가능합니다.
✍️ 마무리 '내 집 마련이 꿈같은 이야기'라 느껴지시나요? 미리내집 제도는 그런 꿈을 현실로 만드는 통로가 될 수 있어요. 특히 월세 부담 없이 서울에 안정적으로 거주하고 싶은 분이라면 꼭 한번 도전해보시길!
궁금한 내용은 댓글로 남겨주세요. 다음 글에서는 "서울시 청년주택 vs 미리내집" 비교 콘텐츠로 찾아올게요 😄
반응형
'생활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🎧 “노이즈 캔슬링 끝판왕! 2025년 무선 이어폰 TOP 5 전격 비교!” (0) | 2025.04.18 |
---|---|
🔐 아이폰 vs 안드로이드, 보안은 누가 더 강할까? (0) | 2025.04.17 |
💼 2025년 상반기 노트북 추천 TOP 5! 대학생부터 직장인까지 필수템 총정리 ✨ (0) | 2025.04.16 |
🏡 2025년, 스마트홈 어디까지 왔나? (1) | 2025.04.15 |
📱“스마트폰 끝판왕 시대 끝?” 2025년 이후 스마트폰의 미래는?🚀 (1) | 2025.04.13 |